정직한 맛집과 술집을 찾아
진실을 쓰는 맛집매거진 "부산조이" www.busanjoy.com
휴일,가격,맛,영업시간,가는 법과 자세한 후기 및 평점은 공식홈페이지에 상세히 나와있습니다.
광안리 해피몽크 http://www.busanjoy.com/caf.php?id=26
Facebook : https://www.facebook.com/busanjoycom/
Instargram : https://www.instagram.com/busanjoy/
해피몽크가 이쁘게 리뉴얼이 됐다. 초록색과 갈색을 이루던 가게의 색이 짙은 갈색과 노란 조명으로 고풍스런 분위기로 변했다. 주변의 신나는 펍과는 꽤 다른 분위기를 풍긴다. 고급지다. 이런느낌.
아마 해피몽크의 과거모습을 아시는 구독자분들이시라면 우왕~ 완전 변했네라고 느낄 만큼 가게의 분위기를 한층 변화시켰다. 과거의 밝은 분위기에서 20대부터 ~ 40대,50대의 연령층까지 다양하게 분위기를 즐길 수 있게 기분 좋은 경쾌함이 묻어난다.
BGM도 EDM이 아니라서 고급진 분위기를 상쇄시키지 않고 요즘 유행하는 노래 좀 한다는 가수들의 세련된 팝으로 편안하고 즐거운 분위기를 만들어준다. 이것이 아마 해피몽크의 가장 큰 장점이 아닐까 싶다. 주변의 펍들은 20,30대의 주고객층이 신나게 놀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반면에 해피몽크는 고급진 분위기에 유쾌함을 더해서 다양한 연령층이 함께 즐기는 공간을 만들어준다.
음.. 마치.. 대학생, 20대 중후반 정도의 자식들이 부모님과 젊은 분위기를 내고 싶을 때?
부모님과 광안뷰를 보며 주말저녁 시원하게 맥주 한잔 하고 싶을 때?
다양한 연령층이 모여 있는 회사회식에 말단 사원부터 과장까지 함께 즐길 수 있는 장소가 필요할 때?
이럴 때 추천한다.
해피몽크는 최상급의 필스너 품질로 유명하다. 전국 TOP10의 필스너 골든 퀄리티 매장으로 생맥주의 품질은 보장하는 곳이다. 진짜 생맥주가 뭔가? 를 느끼고 싶다면 해피몽크를 가보시길
요놈이 봐로 황금의 맥주 필스너이다. 처음 먹었을 때의 느낌은 상쾌함과 부드러움이다.
" 사장님 맥주가 굉장히 상쾌하고 부드럽네요 ? 깔끔합니다. "
"눼?? 필스너는 부드러운 맥주가 아닙니다 ㅋㅋㅋ 필스너느 남자의 맥주에요. 부드러움을 찾으실려면 밀러를 먹어야지요"
"눼엥??......밀러 먹어봤는데요..ㅠㅠㅠ "
ㅋㅋㅋㅋㅋ 뭔가 싶었다. 그래도 호기심에 마트가면 세계맥주들 하나하나 먹어봤는데... 이건 분명 부드러움인데.. 뭐지..ㅠㅠ 이런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서 주인장과 많은 대화를 했다.
글을 쓰면서 곰곰히 생각해보니 내가 정말 잘 관리된 최상급의 생맥주를 먹어본적이 있었나? 라는 의문점이었다. 그렇다.
"나는 이렇게 잘 관리된 생맥주를 먹어본적이 없었지...?"
이제서야 다시 해피몽크의 필스너를 곱씹어 말해보자면 부드러움과 경쾌함은 바로 아 이 내용은 부산조이 공홈에 있다. http://www.busanjoy.com/caf.php?id=26 ㅋㅋㅋㅋㅋ 두번째쓰는 글이라 섬세하고 기똥찬 드립이 생각이 안난다... 종합하면 잘관리된 생맥과 캔맥,병맥의 차이. 관리 상태에 관한 차이. 쓴맛과 신맛을 느낄때 방해정도의 차이등이 해피몽크가 월등히 높아서 상대적으로 느껴졌던 것이다.
여튼 이런 기똥찬 최상급 품질의 필스너를 만들기 위해서는 주인장은 생맥주 기계의 관의 위생, 각 각의 맥주마다 가장 맛있는 적정의 온도, 맥주를 담는 잔의 온도, 맥주를 기계에서 뽑고 손님 앞까지 가는 시간을 계산하는 거품량 등 맥주의 특성을 잘 파악하고 가장 맛있게 먹을 수 있는 방법들을 계속 연구하고 최상의 상태로 유지한다고 한다. 역시.. 맛날 수 밖에
리뉴얼된 해피몽크, 언제가도 기분 좋은 그런 곳이다.
아직 광안뷰 사진이 없는데ㅠㅠ 이때 새벽에 글을 쓰로 가서 광안대교 조명이 꺼져있었다..ㅠㅠ 다음에 꼭 밑에 사진을 넣어두겠댭..
'광안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안리 하나돈까스 :: 돈까스하면 추천하는 돈까스명가 (0) | 2017.05.01 |
---|---|
광안리 수라반 :: 고급스러운 분위기에 맛까지 잡은 광안리 한식집 (0) | 2017.04.28 |
광안리 QQ 큐큐 :: 광안리 바베큐의 본가 (0) | 2017.02.15 |